작성일. 2023-11-21
'20세기 마지막 예술가들의 구술 확보'를 위해 2003년 시작한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사업이 올해도 20년을 맞이했습니다.
이에 그간의 결과물을 선보이고 예술사 구술채록의 가치를 더 많은 분과 나누고자
한국 근현대 예술사 구술채록 20년 기념전 <원풍경(原風景)>을 마련했습니다.
구술채록연구 사업의 지금을 돌아보고 새로운 20년을 가늠하는 이번 전시와 학술 행사에
예술사 연구자들과 미래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.
◉ 전시
▶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 20년 <원풍경(原風景)>
* 학술행사가 진행되는 12월 1일(금) 13시~18시에는 전시 관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◉ 학술행사
* 성명, 이메일주소를 기입하여 bwch@arko.or.kr 로 사전 신청 바랍니다.
학술행사 사전 신청 마감되었습니다.
▶ 프로그램 |
|||
둥록 |
13:30-14:00 |
|
|
개회사 |
14:00-14:10 |
정병국 (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) |
|
발제 |
Session 1. |
충실함을 높이기 위한 구술채록 방법 |
|
사회 : 이한신 (아르코예술기록원 원장) |
|||
14:10-14:30 |
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사업, 20년의 발자취 정보원 (아르코예술기록원 차장) |
||
14:30-14:50 |
예술사 구술채록 컬렉션을 통해 본 근현대+예술사+아카이브의 가능성 최정은 (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, 구술사 연구자) |
||
휴식 |
15:10-15:30 |
|
|
토론 |
Session 2. |
종합 토론 : 연구자들이 바라 본 구술채록사업 |
|
좌장 : 이영미 (대중예술연구자) |
|||
15:30-16:50 |
패널 : |
권행가 (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, 미술사학자) |
|
|
김성수 (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글쓰기 교수) |
||
|
백두산 (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) |
||
|
양민아 (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연구교수, 디아스포라 춤문화 연구자) |
||
|
이희경 (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, 음악학자) |
▶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구술채록사업자료 온라인 열람
https://www.daarts.or.kr/gusool/intro
▶구술채록 20주년 기념 행사 관련 문의
☎ 02-760-4734
✉ bwch@arko.or.kr